신호등 햄버거 메뉴

 

 

장례식장 절하는 법과 복장 예절, 인사말,

떠나는 이를 향한 마지막 예, 남겨진 이에게 전하는 따뜻한 말

장례식장.
그곳은 말보다 마음이 먼저 닿는 자리입니다. 한 사람의 생이 끝나는 지점에서 또 다른 이들의 위로가 시작되는 공간이기도 합니다. 그런데 막상 상가집에 가게 되면, 어떻게 절을 해야 할지, 무슨 말을 해야 할지, 복장은 어떤 게 맞는지 머릿속이 하얘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

이 글에서는 장례식장 방문 시 절하는 법(남자/여자), 예절, 복장, 인사말 등을 정리하여, 갑작스런 상(喪)을 마주했을 때 당황하지 않고 고인을 향한 예와 유족을 향한 배려를 담을 수 있도록 안내드리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
1. 상가집 절하는 법 – 남자와 여자의 차이

조문에서 가장 핵심적인 행동 중 하나가 입니다. 절은 고인에게 마지막 인사를 올리는 방식이며, 동시에 유족에 대한 위로를 담는 몸짓입니다.
절의 방법은 남성과 여성에게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, 다음을 기준으로 하면 됩니다.

✅ 남자의 절하는 법 (두 번 절)

  1. 상주에게 목례 후 제단 앞에 섬
  2. 고인을 향해 두 번 큰 절(큰절)
    – 무릎을 꿇고 이마가 바닥에 닿도록 숙여 절을 두 번 합니다.
  3. 절을 마친 뒤, 상주에게 한 번 가볍게 목례 또는 인사

※ 유족이 손을 잡거나 인사를 건넬 경우 가볍게 악수나 말로 화답합니다.

✅ 여자의 절하는 법 (한 번 절)

  1. 남성과 동일하게 제단 앞에 선 뒤
  2. 고인을 향해 한 번 큰 절
    – 무릎을 꿇고 두 손을 바닥에 모은 상태로 상체를 깊이 숙입니다.
  3. 절 후에는 유족에게 가볍게 목례

비유 표현: 절은 말이 없는 기도입니다. 고인의 평안을 빈다는 한 문장보다 깊은 인사이기도 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
2. 장례식장 복장 – 검소함 속의 격식

“조문은 마음으로 하는 것”이라는 말이 있지만, 복장은 그 마음을 담아내는 첫 번째 언어입니다. 장례식장에서는 지나치게 눈에 띄지 않고, 검정 또는 어두운 색 계통의 옷을 입는 것이 기본 예절입니다.

👔 남자 복장

  • 검정색 정장 또는 어두운 네이비, 차콜 계열의 슈트
  • 흰 셔츠 + 검은 넥타이 (기본)
  • 검정 양말 + 검정 구두
  • 향수나 액세서리는 최대한 자제

👗 여자 복장

  • 검정색 원피스, 정장 투피스, 블라우스 + 바지 조합
  • 무늬가 없는 단색 의상이 가장 적절
  • 짙은 메이크업 금지, 귀걸이・목걸이 등 악세사리 자제
  • 단정한 검정 플랫슈즈 또는 굽이 낮은 신발

※ 여름철이라도 밝은 색상의 옷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, 민소매/슬리퍼/청바지는 삼가야 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
3. 조문 예절 – 처음부터 끝까지 차분하게

장례식장에서의 행동 하나하나는 고인을 향한 존중과 유족에 대한 배려입니다. 불필요한 대화나 과도한 감정표현은 삼가고, 조용하고 절제된 태도로 임하는 것이 좋습니다.

조문 순서 요약

  1. 입구에서 방명록 작성
    → 이름, 소속, 연락처 기재
  2. 향/헌화
    → 헌화 시 꽃봉오리를 고인 쪽으로 향하게 하여 놓습니다.
  3. 절 (앞서 설명한 남/여 방법 참고)
  4. 유족에게 인사
    → 한마디 짧게 “깊은 애도를 표합니다” 정도로 전달
  5. 조문 후 식사 또는 조용히 퇴장

4. 조문 인사말 – 마음을 전하는 한 줄

“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.”

이런 고민, 누구나 해보셨을 겁니다. 조문 인사말은 길 필요가 없습니다.
짧지만 진심 어린 말 한마디가 가장 위로가 됩니다. 여기 몇 가지 조문 인사말 예시를 소개합니다.

✅ 일반적인 인사말

  • “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.”
  • “깊은 애도의 말씀을 전합니다.”
  • “얼마나 슬프실지 짐작조차 어렵습니다. 마음 잘 추스르시길 바랍니다.”
  • “하늘나라에서 평안하시길 기원합니다.”

✅ 가까운 지인의 경우

  • “그분의 미소가 아직도 눈에 선합니다. 좋은 곳에서 편히 쉬시길 바랍니다.”
  • “갑작스러운 소식에 마음이 아픕니다. 옆에서 힘이 되어드릴게요.”
  • “언제든지 도움이 필요하면 연락 주세요. 함께 이겨내요.”

 

 

 

 

 


5. 장례식장에서 지켜야 할 태도와 금기사항

장례식장은 고인의 마지막 길을 배웅하는 장소이므로, 다음과 같은 예절을 꼭 지켜야 합니다.

❌ 하지 말아야 할 행동

  • 큰소리로 웃거나 통화하기
  • 고인의 사망 원인에 대해 자세히 묻기
  • 술에 취해 행동이 흐트러지는 경우
  • 셀카, 음식 사진 등 부적절한 촬영

✅ 해야 할 태도

  • 핸드폰은 진동 또는 무음
  • 조용히, 차분한 말투 유지
  • 유족의 감정을 먼저 배려

6. 상가집 식사 예절도 중요합니다

조문 후 식사를 권유받는 경우도 많습니다. 이 또한 예의의 일부이며, 가능한 한 감사의 뜻으로 가볍게 식사를 하고 나오는 것이 좋습니다.

  • 먼저 자리 잡기보다는 유족 또는 직원 안내에 따름
  • 음식을 남기지 않도록 적당히 덜어 섭취
  • 너무 오래 머무르지 않기, 대화는 조용히

식사 자리에서 조문객끼리 잡담하거나 웃는 분위기를 만들면 다른 유족이나 조문객에게 불쾌함을 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
마무리 – 슬픔을 품고 떠나는 이를 배웅하는 예(禮)

장례식은 누군가의 마지막 순간이자, 남겨진 이들의 시작입니다.
조문은 단순한 의무가 아닌 삶과 죽음 사이의 존엄을 지키는 의식입니다.
절 한 번, 복장 하나, 인사말 한 줄에도 마음이 담겨 있다면, 그것이야말로 고인에게 보내는 최고의 배웅이자 유족에게는 가장 큰 위로가 될 것입니다.

부디 이 글이 여러분이 언젠가 마주하게 될 그 순간, 침착하고 예의 바르게 행동할 수 있는 작은 안내서가 되어주길 바랍니다.


 

 

위쪽 화살표